본문 바로가기

커피한잔,생각 한모금

알아두면 좋은 우리가 잘 몰랐던 축구의 숨은 이야기

2012 런던올림픽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올림픽의 수많은 종목 중 제가 무엇보다 가장 기대하는 종목은 바로 축구! 박주영, 기성룡, 구자철 등 유럽파가 모여 어느 때보다 가장 강력한 전력을 자랑하며 우리나라 올림픽 역사에 남을 첫 메달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기대감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커지는 기대감으로 오늘은 축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런던올림픽 성화봉송 중인 데이비드 베컴! 출처: 슛골 카페>

 

우리가 쉽게 알 수 있었던 축구의 규칙 같은 그저 그런 이야기가 아닙니다. 축구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는 그런 지루한 이야기도 아닙니다. 어디선가 지나쳐 들었을지도 모르지만, 작정하고 알려고 하지 않는 이상은 알 수 없었던 이야기죠. 올림픽을 맞이해 축구상식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몇 가지를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극기의 귀환! 대표팀 유니폼의 태극기가 반가운 이유는?

 

우리나라 올림픽 대표팀의 유니폼이 얼마전 공개가 되었습니다. 보기만 해도 가슴이 뭉클해지는 붉은 유니폼을 휘날리며 뛸 우리 선수들의 모습이 벌써부터 기대가 되고 있어요. 공개된 유니폼은 ‘전격공개!’라고 하기에는 뭔가 그리 달라진 것도 특별할 것도 없는 디자인이었습니다. 하지만 도드라지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가슴에 붙은 태극기랍니다.

 

<바로 이 유니폼!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까지 생각한 착한 유니폼! 출처: 베스트일레븐>

 

대표팀 유니폼에 국기가 붙어 있는 것이 뭐가 놀랍냐구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원래 A대표팀의 유니폼에는 국기가 아닌 자국 축구협회의 엠블렘이 새겨져야 한답니다. 아마 대표팀의 유니폼에는 국기가 붙어 있을 거라 생각하셨을지 모르지만, 다른 나라도 그렇고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축구협회의 상징인 불굴의 호랑이를 새겼죠.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으로 잠깐 돌아가보면 당시 우리나라를 비롯한 축구 본선 진출팀들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결정에 부랴부랴 축구협회 엠블렘을 가리거나 엠블렘이 없는 유니폼을 공수해오는 해피닝이 벌어지기도 했어요. 그 이유는 IOC에서 베이징 올림픽 본선 진출 팀들은 각국 축구협회의 엠블렘을 달 수 없도록 강제했기 때문이죠. 원래 이런 규정은 없었지만, 올림픽위원회의 권위를 강화하며 축구협회의 권위를 축소하기 위해 축구협회의 엠블렘보다 자국의 국기를 달도록 갑자기 바꾸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엠블렘이 없는 유니폼을 공수하는데 시간이 걸려 매직으로 지우고 나오는 무언가 굴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태극기가 돌아와 ‘태극마크’라는 의미가 더해지게 됐습니다.

 

 <2008 베이징올림픽 당시 엠블렘을 가린 유니폼의 모습. 출처: 조이뉴스>

 

우리나라는 1990년대까지 태극기가 새겨진 유니폼을 입었지만,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세계적 관례를 따르기 위해 가슴의 태극기는 유니폼 양쪽 소매로 이동하면서 ‘가슴에 태극마크를 달다’라는 표현의 의미는 점차 축소되어왔어요. 하지만,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멋지게 태극기가 등장하면서 ‘태극마크’의 자부심이 더욱 커지리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유니폼 변천사 2002년부터 축구협회의 마크가 들어가있어요.>

 

축구 종주국 영국이 38년 만에 올림픽에 출전하는 이유

 

네, 그렇습니다. 이번 올림픽 축구 하면 빠질 수 없는 이야기가 38년 만에 올림픽에 출전하는 영국의 이야기죠. 월드컵에는 단골이었지만, 올림픽에서만큼은 볼 수가 없었는데요. 그 이유는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알려드릴게요~

 

우선 영국이라는 나라는 잉글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4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식 명칭도 그레이트브리튼 & 북아일랜드 연합왕국(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thern Ireland)입니다. 즉 이들 4개 지역에는 모두 축구협회가 있고, 국제축구연맹(FIFA)에 가입되어있기 때문에 각각의 팀으로 월드컵에 출전할 수는 있었어요. 하지만 올림픽에는 이 4개 지역이 영국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맘 고생 심했던 영국 올림픽 축구팀 주장 라이언 긱스… 출처: 골닷컴>

 

이번 대회처럼 단일팀으로 그동안 출전했으면 간단했을 문제인데 왜 이제서야 출전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는데요. 그 이유를 말하자면 역사적인 깊이로까지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너무 자세히는 말하기 힘듭니다… 힘들어요… 다만 스코틀랜드가 정체성 훼손이라는 무기를 들고 나왔기 때문에 기회가 무산된 적이 많았다고 말씀드리고 싶은데요.

 

결국 이번 대회에서는 축구 종주국이라는 자존심을 살리고 자국 대회라는 의미가 있어서 출전에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축구스타 베컴은 자신이 뛰지 못하더라도 꼭 단일팀의 모습을 보는 것이 소원이라고 했는데 소원 성취하셨네요~ 영국 올림픽 팀에서 비록 베컴의 모습은 볼 수 없지만 박지성과 한솥밥을 먹은 멘유의 레전드 라이언 긱스가 스쿼드에 포함되면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39살의 라이언 긱스는 이제 올림픽을 끝으로 영영 대표팀 유니폼을 입는 모습을 볼 수 없겠네요 ㅠ.ㅠ

 

<이 엄청난 선수들을 올림픽에서 볼 순 없지만!,,,, 영국은 출전한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한 국가에서 여러 팀이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다??

 

저도 지인을 통해서 이런 이야기를 들은바 있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한 국가에서 몇 개의 팀이 나와 월드컵에 나갈 수 있다는 말을요. 뭔가 허무맹랑한 이야기 같지만 월드컵의 성격을 알아보면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는 아니랍니다. 사실 월드컵은 국가간 대항전의 의미보다는 축구협회간 대결이라는 말이 더욱 일리가 있습니다. 이런 사실을 알고 있다면, 단번에 믿을지도 모르죠.

 

쉽게 말하자면 우리나라가 서울에 축구협회가 있고, 전라도에 축구협회가 있고, 경상도에 축구협회가 있다면, 월드컵 예선에서 서울 대표팀, 전라도 대표팀 이런 식으로 나뉘어 서로 경쟁을 하고 승자가 월드컵에 나간다는 그런 말입니다. 물론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이야기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FIFA에서 1국가 1개 팀을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원칙을 영국에 적용하자면 영국도 잉글랜드나 웨일즈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중 한 팀만이 나와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있어요. 이것도 이유를 알아보자면 조금 역사적으로 들어가야 하는데요. 이런 규칙을 무시하고 월드컵 초창기 출전하려던 영국은 제지를 당하자 대회참가를 거부하면서 대회의 권위와 흥행에 지장을 주었어요. 이를 계기로 월드컵은 큰 타격을 받았기에 FIFA에서는 허리를 굽혀 종주국에 대한 예우차원이라는 명분과 함께 영국만은 허락하게 되었죠. 한마디로 종주국 재량으로 지금까지 그 법칙이 적용되고 있는 거랍니다.

 

월드컵에서 잘나가는 나라들 올림픽에서는 보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

 

월드컵이 시작되면 의례 우승팀을 예상해보는데요. 단골로 나오는 팀은 브라질,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등등 이름만 들어도 엄청난 팀들이죠. 그런데 올림픽에서는 쉽게 우승팀을 예측하기가 어려워요. 역대 우승국만 보더라도 우루과이, 헝가리, 체코, 나이지리아, 카메룬 등등 월드컵에서는 우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국가들이 올림픽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됩니다. 그나마 최근에 아르헨티나, 스페인 등 왠지 우승할 것 같은 국가가 우승을 하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우리에겐 의외의 국가들이 올림픽에서 우승을 하곤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유에 대해 ‘이거다!’라고는 말씀드리기 어려워요. 워낙 스포츠의 세계는 변수도 많기 때문이고, 절대전력은 존재하지 않으니까요. 그런데 그런 원인에 대해 조금 살펴보자면, 대륙별 안배와 출전선수 제한, 흥행부진 등의 이유로 올림픽에는 기량높은 선수들을 출전시키지 않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입니다. 또한 올림픽 축구는 와일드카드 3명 외에 23세 미만의 선수만 출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스타들을 올림픽에서 볼 수 없다는 점도 꼽을 수 있죠.

 

 

<올림픽은 월드컵과 다르게 남미와 아프리카가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그리고 강자들의 자비라고 할까요? 축구강국에서는 올림픽에 가능성이 보이는 어린 선수들을 위주로만 출전시키는 것이 관습화되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데요. 일례로 ‘네덜란드’의 경우 좋은 선수가 있으면 그 선수가 청소년 대표팀을 벗어나면 바로 국가대표로 뽑아 올림픽 등을 통해 경험을 쌓도록 만든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축구 약소국은 최강의 드림팀을 구성해 나가는 반면 강국은 나름 설렁설렁(?) 선수들을 구성해 출전시키곤 하면서 전력의 평등화가 되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모모습 사라질 듯해요. 점차 올림픽의 권위가 높아지고, 유럽의 축구강국들의 실력이 평준화되면서 올림픽 우승을 노리는 국가가 많아짐에 따라 더욱 박진감 넘치는 승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끝으로 등번호에 관한 짧은 이야기

 

1번은 골키퍼 2~5번은 수비수 6~8번은 미드필더 9~11은 공격수. 딱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선수들의 백넘버는 어느 정도 포지션의 영향을 받곤 하죠. 7번을 고집하는 호날두마냥 백넘버에 대한 집착에 대한 이야기를 끝으로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1+8’번을 달고 뛴 남미 최고의 스트라이커 지금은 은퇴한 ‘사모라노’ 선수, 프로통산 500경기 돌파를 기념해 500번을 달았던 우리나라 ‘김병지’ 골키퍼처럼 특이한 백넘버도 있습니다. 그리고 영구결번이라 하여 특정 번호를 남겨놓는 경우도 있구요.

 

 

 

 

대표적인 영구결번은 AC밀란의 ‘파울로 말디니’를 위한 3번, 나폴리의 ‘디에고 마라도나’를 위한 10번, 부산 아이파크의 ‘송종국’ 선수를 위한 24번 등 팀에 헌신한 선수를 위해 이를 기념하는 번호를 간직하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이외에 팀에 헌신한 것은 마찬가지지만 조금 다른 의미로 영구결번을 남겨놓기도 하는데요. 이탈리아의 벤피카 팀에서 경기 중 사망한 ‘페헤르’ 선수의 29번과 맨체스터 시티의 ‘비비앙 푀’ 선수들은 애도의 의미를 담아 영구결번으로 남겨놓기도 하였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축구에 관한 몰라도 되는 깨알 같은 상식 어떠셨어요? 막상 알고보니 다 아는 이야기는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고, 너무 거창하게 서두에 말해 실망하신 건 아닐까 걱정도 되는데요. 어쨌든 한번쯤 알아두면 어딘가에서 써먹기 좋을 그런 축구 이야기를 올려 봤습니다.

 

요즘 이런 광고가 눈에 띄더라고요 “나는 월드컵 경기를 하는 90분간 우리나라를 사랑합니다.”라는 카피의 광고를요. 지난 2002년의 월드컵 열기와 2006, 2010 월드컵에서 보여준 그 많던 응원 물결은 어디로 간 것인가요? 그때는 여러분 모두 애국자 아니었나요? ㅠ.ㅠ 그때의 마음을 담아 이번 올림픽 우리나라 선수들에게 진심이 담긴 응원 보내주시길 축구팬으로서 조심스런 부탁을 드리며 마쳐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