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뚱상인 하루하루

[더티&강쇼, 세미나 후기] 북디자이너 이기준, 디자인에서 투명도 보태기




이기준 작가는 이번 세미나의 주제를 ‘옮기기’라고 정했지만, 구체적으로는 ‘번역하기’가 더 맞는 표현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번역은 같은 글이라도 번역가가 텍스트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텍스트가 되는데요, 번역가가 하는 일처럼 그도 직업의 특성상 원래의 텍스트(그림, 글, 사진, 음악)가 자신에게 오면 그것을 재가공하여 책이나 도록, 음반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이에요. 지난 6월 13일(금) 저녁 7시, 윤디자인연구소 1층 세미나룸에서 열린 <더티(The T)&강쇼: 제5회 이기준의 옮기기>의 현장으로 함께 가보실까요~?


▶ [세미나] 더티&강쇼: 제5회 이기준의 옮기기 소개 글 (바로 가기)

▶ 그래픽 디자이너 이기준 인터뷰 (바로 가기)




음악 그리고 투명하게 보태기

 



 



어릴 적부터 음악을 좋아했다는 이기준 작가는 매일 음반가게를 방문해 판을 구경하는 것이 취미였습니다. 특히 십대 때 헤비메탈 밴드의 앨범 커버에 그려진 거친 그림과 뾰족한 글자는 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하는데요, 음악을 좋아해 악기를 연주하는 것 대신 앨범 커버에 담긴 이미지나 밴드의 로고를 따라 그리곤 했답니다. 그것이 디자인인지도 몰랐던 그는 자연스레 관심사를 따라 디자이너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해요.



“연주에서 중요한 건 연주자의 자아를 투명하게 보태는 것이다.”

- 사드 카하드, <파리 좌안의 피아노 공방> 중



이기준 작가는 ‘디자이너는 지휘자다.’라고 했던 선배 디자이너의 말을 자주 인용한다고 하는데요, 지휘자는 자신이 연주하려는 곡에 맞춰 지휘자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해야 하고, 그 곡에 필요한 악기를 구성하고, 곡과 잘 어울리는 악기 연주자를 선정하는 등 자기가 생각하는 연주를 만들기 위해 이를 조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휘자처럼 디자이너도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이와 같은 작업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그런데 그는 여기서 조금 다른 견해를 비추입니다. 스스로는 디자이너를 ‘연주자’라고 생각한다고 해요. 연주자가 어떻게 연주하느냐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지듯이 디자이너가 어떤 가치관, 태도에 따라 접근하느냐에 따라 원안이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죠. 이기준 작가는 연주자가 곡에 자기자신을 투명하게 보태야 한다는 마음으로 작업을 한다고 했는데요, 음악을 틀어주면서 분위기도 말랑말랑하게 할 겸, 그가 말한 투명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해주었답니다. 잠시 그 음악을 함께 비교하며 들어볼까요~?



비틀즈의 ‘Black Bird’ 원곡 / 출처: 유투브



재즈 피아니스트 브레드 멜더의 ‘Black Bird’ cover / 출처: 유투브



음악을 틀어놓고 유유자적 커피를 마시는 그의 모습에서 자신의 작업실에 있는 듯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었고, 낭만이 있는 디자이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는 진짜 투명한 것은 원본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라며, 투명하게 보탠다는 것은 투명한 것과 다른 이야기라고 말했는데요, 실제로 그가 보여준 작업 과정 속에서도 원작자의 작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그 의도를 그대로 살리고자 한 작품이 많았습니다. 




불국사 석단에서 발견한 한국적 디자인의 장점


 

  



이기준 작가는 국민성이 있다면 한국인은 참 디자인에 어울리는 민족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해왔다고 해요.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지방에 있는 작은 식당에 가도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지만, 한국의 분식점은 인테리어부터 수저나 물컵까지 뭔가 대충 놓아져 있는 느낌이 많아 디자인에 있어 태생적인 핸디캡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죠.


얼마 전 경주를 처음 방문했다는 그는 늘 조선시대의 사찰만 보다가 신라시대 사찰의 크고 웅장한 모습에 적잖이 놀랬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이 곳에서 한국적 디자인의 장점을 발견한 계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네모 반듯하게 돌을 깎아 건물을 세우는 서양과는 달리, 불국사 석단의 아래쪽은 주워온 돌을 쌓아 놓은 뒤 평형을 맞추기 위해 아래는 그대로 두고 위를 평평하게 다듬은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요, 돌을 쌓을 때 대충하는 것 같지만 설계도에 따라서 세심하게 관찰해서 공을 들인 흔적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 경험 이후 이기준 작가는 핸디캡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서양식 바지는 자기 몸에 딱 맞아야 편하고 보기 좋지만, 한복 바지 크기와 기장에 제한이 없이 저고리만 묶으면 누구에게나 두루 맞출 수 있고, 보자기 또한 크기에 따라 묶는 길이의 차이만 있을 뿐 한국적 디자인에는 융통성과 창의성이 공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디자인에 있어서 ‘불국사 정신’은 그의 작업 과정에도 고스란히 담겨 있었는데요, 제 각각인 텍스트 분량과 이미지를 디자이너가 임의로 포맷을 정하고 원본을 수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살려 내용에 맞게 늘리고 줄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시인의 마음으로 작업하기




 



이기준 작가는 평소 책을 좋아하지만, 시는 잘 못 읽는다고 합니다. 어떤 생각을 바로 쓰면 에세이가 되지만, 시는 몇 단계를 거치면서 필요 없는 것을 잘라내고 엑기스만 뽑아 놓아 수많은 과정 속을 거친 작가의 생각을 알 수 없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정작 작업을 할 때는 시인의 마음으로 작업한다고 해요. 최근 재즈 피아니스트 이선지의 ‘국경의 밤’ 앨범 작업에 참여하면서 앨범 작업을 위해 직접 녹음실에 가서 앨범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았다고 합니다. 앨범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고 음악을 들으면서 영감을 얻고 스케치를 상상하며 느꼈던 점을 모아 앨범 자켓 디자인을 완성한 것이죠.



이선지 ‘Dive’ / 출처: 유투브




북디자이너 이기준의 ‘품위’있는 라이프

 



[좌] 이기준, [우] 강구룡



이기준 작가가 생각하는 ‘품위’가 바라는 게 당장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그걸 당장 어떻게 하려고 발버둥 치지 않고 지내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다들 지금하고 있는 것으로 무언가를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요즘 시대의 생각과는 조금 다르죠~?!


이러한 품위는 그의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명 ‘8•8•8의 법칙'이라고도 하는데요, 인생의 3분의 1인 8시간은 자는 시간으로, 3분의 1은 직업과 같이 밥벌이를 위한 시간으로, 나머지 3분의 1은 벌이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자기가 하고 싶은 생산적인 일에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기준 작가는 아침을 먹고 점심을 먹기 직전까지 1~2시간이 가장 깨어있는 황금시간이라고 하는데요, 이 귀중한 시간을 돈 버는 것에 쓰지 않고 자신의 소설을 쓰거나 음악을 듣는 등으로 쓴다고 해요.





한편, 세미나 <더티&강쇼>는 여름을 맞이해 오는 7월 3일(목) 오후 4시부터 7시까지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화재보험협회 대강당에서 분기별 대규모 세미나인 <더티&강쇼 2014 여름 심포지엄: 디자이너의 글자>를 마련합니다. 디자이너는 항상 쓰고 말하고 읽는 글자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1980년대 생 젊은 디자이너 김기조, 노은유, 강구룡이 지금의 가장 살아있는 글자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윤톡톡과 타이포그래피 서울을 통해 확인해보시고,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더티&강쇼 2014 여름 심포지엄: 디자이너의 글자 (바로 가기)